[Redux]
ko.redux.js.org/understanding/thinking-in-redux/three-principles/
3가지 원칙 | Redux
소개 > 3가지 원칙: Redux 사용의 3가지 중요 원칙
ko.redux.js.org
3가지 원칙 | Redux
소개 > 3가지 원칙: Redux 사용의 3가지 중요 원칙
ko.redux.js.org
Redux (3) 리덕스를 리액트와 함께 사용하기
3-1. 리덕스의 3가지 규칙 리덕스를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게 될 때 알아둬야 할 3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안에는 하나의 스토어가 있습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선 단 한
velog.io
리덕스(Redux)를 왜 쓸까? 그리고 리덕스를 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발악 (i) | VELOPERT.LOG
이 포스트는 리덕스의 리도 모르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리덕스가 왜 필요한지 알아보고, 리덕스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발악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리덕스 왜 쓸까? 리액트�
velopert.com
리덕스에서 중요한 점
리덕스는 데이터흐름이나 구조 자체가 모벡스보다 정형화 되어있다. 리액트-리덕스라고 부르고, 모벡스-리액트라고 부른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그냥 이렇게 불린다는 것~
프로젝트할 때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고려한 뒤 "상태", "스토리지"를 감안해서 정해야한다. 설계가 중요함.
리덕스를 사용하면 좋은 점
현재 상태와 이전 상태를 저장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리듀서가 스토의 기존 상태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객체(newState)를 만들면서 대체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상태는 히스토리에 저장!
순수함수/불변성에 의해서..
1. 스토어에 현재 상태가 있고,
2. 액션 크리에이터에서, dispatch(action)을 이용해,
3. 리듀서로 보내면, 새로운 상태 객체가 생성된다. 이제 스토에 있는 상태는 기존의 상태가 아닌, 새로 생성된 상태 객체
4. 리액트 컴포넌트..!!??
엄청난 뎁스의 컴포넌트간의 상태 공유가 필요할 때 리덕스가 편리함.
폴더 구조
사용법
데이터 흐름
상태설계
이번 스프린트는 리액트를 사용하지 않고 리덕스만 쓰는 경우로 제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