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3 - React, fetch, axios 복습 및 Git 사용법 익히기
1. react-router-dom
그룹 프로젝트에서 프론트엔드, 웹페이지 첫 home화면을 맡게되었는데, 이 첫 화면부터 띄워지지가 않는다.
처음엔, build가 안되어있어서라는 에러를 보고 자신있게 npm run build도 해줬고, 그 뒤에 보니 수없이 많은 에러들이 떴는데, 아마도 근거없이 이전 과제들의 코드를 조금씩 따와서이겠다.
그래서 아래 줄을 공부해보려 한다.
import { Switch, Route, withRouter } from "react-router-dom";
react-router는 페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third-party library라고 한다.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이뤄지는 라우팅도 간단하게 해주고 서버 사이드 렌더링도 도와주는 도구들도 같이 딸리온다고 한다.
리액트 라우터 설치는 yarn add react-router-dom 으로 할 수 있다. yarn과 npm차이(later)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react-router-dom은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리액트 라우터다. 추가적으로 yarn add cross-env --dev를 하게되면 cross-env 라이브러리가 NODE_PATH를 통해 절대경로로 파일을 불러오는 환경 변수를 통일감있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fetch vs. axios 차이점 (later)
axios가 더 편리한 것으로 알고는 있지만, 조금 확실히 알고싶다. 어떻게 뭐가 더 편한건지.
3. github 사용기 (오늘 알게된 내용만: 기존 remote url 변경하기)
그 동안 과제등을 해오며, 수없이 git push origin master, git pull pair master 그리고 origin 안에 master가 아닌 다른 branch를 만들어보라해서 만들어봤지만, 오늘에서야 그 작업들이 무엇이었고 어떻게 흘러가는지 조금 알게되었다.
지금까지는 master 브랜치에서만 작업을 했었다. 하지만 이제 dev branch도 사용한다. 프로젝트가 완성되기전까지는 dev branch에서 작업을 할 예정이다.
branch관련
새로운 branch 확인하기: 터미널에 git branch 를 입력하면, 현재 존재하는 브랜치와 사용중인 브랜치(예 master *dev)를 나타낸다.
원하는 branch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이동하고자하는branch이름 을 쓰면, 이동할 수 있다.
새로운 branch 만들고 이동하기: git checkout 새로운branch이름
branch는 나무에서 가지를 의미하듯, 가지치기를 하는 것과도 비슷하다. 만약 master에서 작업을 했는데, 2 가지 다른 방법을 시도하고 싶은데, 이 것을 첫 번째 방법을 시도한뒤, 다시 이전상태로 복구한 다음, 두 번째 방법을 시도하면 조금 아쉽겠다. 그래서 master에서 branch를 만들 수가 있다. 내가 갖고 싶은 상태에 있는 위치에서 branch를 생성하면 동일한 복사본을 갖게되는 것과 같다.
upstream과 (나의)origin과의 관계
Git에서 remote란 협업 프로그래밍시 팀원들과 함께 변경사항을 주고받을 수 있는 공통 repository를 말한다. Github는 이런 remote repository를 저장해주는 서비스다. (지금까지 github이 git이라고 생각했는데.. 왜 명령어가 git이였을까..? ㅠㅠ)
remote에 대해 더 공부가 필요한 부분: fork와 origin의 관계? fork한 뒤에 clone했을 때 따로 설정 필요없이 origin에 clone한 주소가 들어가는데 이건 어떻게 가능한지, fork와 관련이 있을지.
우선 git remote add remote이름 https://로시작하는(github에서 클론한)주소 을 했을 때의 장점은 클론한 주소를 매번 복사 붙여넣기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는 점이다.
위에서 처럼, 새로운 remote를 생성한 뒤 터미널에 git remote -v 를 입력하면, 존재하는 remote들이 나올 것이다. git remote add로 또 다른 remote를 추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remote으로 upstream에 팀 repository주소를 넣었다. 그런데 도중에 repository 이름이 변경되었다. github주소에 보면 /뒤로 repository이름이 붙는다. 따라서 아 이 remote를 어떻게 해야하나.. 다시 다 지우고 새로 시작해야하나 하면서, 엄청 당황했지만, 검색을 했더니 역시나 방법이 있었다. 늘 방법은 있는 것 같다. 다만 "최선"의 방법이 아닌 경우가 많은게 문제라면 문제겠다.
결론은, gir remote set-url 해당remote이름 변경하고자하는github주소 를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remote이름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도 있고, remote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다음부턴 너무 당황하지 않기로!
references
1.
2.
3. github 관련 changing a remote's URL